평일:오전10시~오후9시/토·일·공휴일:오전10시~오후5시/365진료(설날·추석연휴만 휴진)/전화:031-205-7553


커뮤니티

COMMUNITY

커뮤니티

COMMUNITY

상담문의

031) 205-7553

건강칼럼

역류성 식도염의 한방치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수한의원
작성일21-07-13 13:11 조회2,488회

본문

  역류성 식도염은 위식도 역류질환의 한 종류입니다. 위 안의 내용물들이 식도로 역류하여 생기는 다양한 증상 및 합병증들을 위식도 역류질환(GERD)이라고 합니다. 이로 인해 생긴 염증이나 미란, 궤양이 역류성 식도염에 해당합니다. 분문이라고도 하는 식도하부 괄약근의 기능이 저하가 역류증상을 일으키는 원인입니다. 이외에도 복압의 증가나 식도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한의학에서는 매핵기가 이에 해당하며 목에 뭐가 걸린 듯한 불편감이나 이물감을 호소하며 뱉으려고 해도 뱉어지지 않는 증상을 말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

  역류성 식도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산역류에 의한 식도 자극으로 생기는데 가슴부터 목까지 타는 듯한 느낌입니다. 그래서 영어로도 Heartburn이라고 합니다. 물이나 음식물을 삼키는데 장애가 있을 수 있고, 식사 후에 트림과 함께 음식물이 넘어 오기도 합니다. 후두와 기도 쪽에도 영향을 줘서 기침, 쉰 목소리, 인후이물감, 인후염 등의 호흡기 증상도 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보통 식사 후나 저녁시간 이후로 증상이 심해지는 편입니다.

 

바렛 식도란

  역류성 식도염이 지속되면 위산자극에 견디기 위해 식도점막의 상피 세포들이 위 점막과 비슷한 상피 세포들로 바뀌게 됩니다. 점막의 상태가 변화하는 현상을 화생(metaplasia)이라 하며 이런 상태의 식도를 바렛식도(Barrett's esophagus)라고 합니다. 바렛식도 자체가 다른 증상을 유발하진 않지만 식도암이 생길 가능성이 많이 높아지므로 역류성 식도염이 오래된 분들은 주기적으로 내시경검사를 통해 식도 점막의 상태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양방 치료와 부작용

  역류성 식도염이 있을 경우 사용하는 약은 제산제나 위산분비억제제입니다. 제산제는 위장 내에서 위산을 중화시켜 증상을 완화하는 역할로 알루미늄과 마그네슘 두 종류가 있습니다. 위산분비 억제제는 위에서 위산 분비 자체를 억제하는 약으로 PPI(Proton Pump Inhibitor H2 수용체 차단제(항히스타민제)의 두 종류가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최근에 개발된 PPI가 효과나 부작용면에서 좋아 많이 쓰입니다.

  하지만 이런 위산분비억제제를 계속 복용하더라도 낫지 않거나 복용을 중단하면 다시 재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히려 위산분비가 너무 적어도 역류성식도염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위산분비가 적으면 소화가 잘 안되고 음식물이 위에 오래 머무르며 역류증상이 발생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위선분비억제제를 복용한다면 효과가 없거나 증상을 더욱 심하게 만듭니다. 양약복용으로 효과가 없는 분들은 한의원에 내원하셔서 치료를 받으시면 증상개선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한방치료 

  한의학에도 역류성 식도염을 치료하는 치법들이 다양하게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 처방인 반하후박탕, 반하사심탕은 보험처방에도 들어가 있어서 환자분들에게 부담 없이 효과적으로 처방해드리는 한약입니다. 반하후박탕은 심인성으로 스트레스나 긴장 시 증상이 더 심해지고 목에 가래가 계속 낀듯한데 안 빠지는 느낌이 있을 때 쓰이고, 반하사심탕은 좀 더 소화기 증상이 심하여 속쓰림, 신물, 소화불량 등의 증상이 있을 때 처방하게 됩니다. 한약복용과 함께 침치료 역시 병행하시면 더 빠른 회복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평소 생활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회복과 예방에 있어서는 불량한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식사 후 2~3시간 이내에는 되도록 눕거나 엎드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 시에도 상체를 약간 위쪽으로 올려주는 자세를 취하면 증상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상체를 올려주면 위산역류를 물리적으로 막을 뿐만 아니라 복근의 긴장도를 낮춰서 복압이 내려가는 효과도 있습니다. 식생활 관리가 예방에 있어 제일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름진 음식, 카페인, 탄산음료, , 과일쥬스 등은 식도하부 괄약근의 수축을 저해 하거나 위산분비를 늘려 역류증상을 악화시키는 음식입니다. 과식이나 야식도 삼가야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식사 때마다 통증 및 불편감을 유발하고 제한해야 하는 음식들도 많아서 먹는 즐거움을 잃게 만듭니다. 또한 호흡기와 인후두에도 영향을 미치고 방치할 경우 암을 유발할 수도 있는 질환입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치료와 생활 및 식습관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좋아지고 관리가 가능합니다. 속쓰림과 위산역류로 불편감을 겪고 계신 분들은 저희 수원 영통 경희수한의원에 내원하셔서 자세한 상담을 통해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체질과 원인에 따른 맞춤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왜? 경희수한의원?

진심으로 가족을 대하듯 진료하며, 최선의 치료를 위해 앞서가는 한의원입니다.

Tel.031-205-7553   |   E-mail.kyungheesu@gmail.com
회사명 : 경희수한의원 | 대표자명 : 이재현 | 사업자등록번호 : 832-90-00179
주소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봉영로 1612, 305호 (영통동, 보보스프라자)
COPYRIGHT 2016@ www.kyungheesu.co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