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일:오전10시~오후9시/토·일·공휴일:오전10시~오후5시/365진료(설날·추석연휴만 휴진)/전화:031-205-7553


커뮤니티

COMMUNITY

커뮤니티

COMMUNITY

상담문의

031) 205-7553

건강칼럼

뒷목 통증의 주요원인, 판상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수한의원
작성일21-06-16 11:06 조회3,031회

본문

  판상근은 이름대로 목 뒤편을 둘러싸고 있는 널찍한 판모양의 근육입니다흔히 말하는 긴장성 두통의 원인이 이 판상근의 긴장으로부터 발생합니다. 판상근은 두판상근 경판상근 두 근육으로 나눠집니다두판상근은 목중앙선을 따라 항인대와 경추 7~ 흉추 3번 극돌기에서 시작하여 귀 뒤편에 튀어나온 뼈인 유양돌기에 붙습니다. 경판상근은 두판상근 밑인 흉추 3~ 6번 극돌기에서 시작하여 목주위를 타고 돌아가 경추 1~ 3번 횡돌기에 붙습니다. 두판상근은 경추에서 두개골에 붙으므로 머리와 목을 같이 움직이지만, 경판상근은 경추뒷편에서 경추 옆쪽으로 붙은 근육이므로 목의 움직임에만 관여한다는 차이점이 있겠습니다.

 

두판상근과 목 통증, 두통 

 두판상근은 목뒷편 통증과 정수리 쪽의 두정통을 유발하며 경판상근의 경우 하부의 문제는 목-어깨 연결부위의 통증을 일으키고 상부의 문제는 안구주위의 방사통, 눈의 침침함 및 건조감을 유발합니다두통이 띠를 두른 듯 나타나며 이마와 관자놀이에서 제일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는 두판상근 밑에 숨어있는 두반극근의 문제로 나타는 증상입니다. 이쪽이 안 좋으신 분들은 상담시 고개를 젖히면 이마 관자놀이 쪽이 무겁다고 많이 호소하십니다.

  판상근은 한쪽의 근육만 사용할 경우 목을 같은 편으로 돌리는 동측 회전근으로 작용하고, 양쪽 근육을 동시에 사용하면 목을 뒤로 젖히는 신전근으로 작용합니다. 그래서 판상근의 문제가 있으면 보통 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이 원활하지 않게 됩니다. 목의 굴곡에 작용하는 흉쇄유돌근과 길항근 관계이며 판상근의 문제가 있는 경우 흉쇄유돌근도 안좋기 쉬우므로 이 근육들을 같이 치료 해주면 효과가 좋습니다. 동측 회전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견갑거근과 함께 치료해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오래 앉아 생활하는 분은 판상근 긴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판상근은 자세에 의해서 제일 빨리 안 좋아 지는 근육입니다. 학생부터 회사원까지 장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대부분의 현대인들이 판상근의 문제를 갖고 있습니다. 요즘은 스마트폰의 사용까지 늘면서 꼭 책상에 오래 앉아있지 않더라도 목의 자세가 망가지기 쉬운 환경이 되었습니다. 머리의 무게는 약 4.5~6kg 정도로 볼링공 무게와 비슷합니다. 볼링공을 몸에 붙이고 있으면 장시간 들고 있어도 괜찮지만 멀찍이 떨어뜨려 들고 있으면 손목과 팔에 금방 무리가 오는 것과 같습니다. 머리가 목에서 1cm 앞으로 나갈 때마다 목이 버텨야하는 하중은 2~3kg씩 증가합니다. 이 때문에 장시간 머리를 앞으로 뺀 자세로 오래 앉아있으면 경추와 목 근육에 무리가 가면서 거북목이 생기고 판상근을 비롯한 주변 근육들의 문제도 나타나는 것입니다. 온도에도 민감한 근육으로 여름에 뒷목 쪽으로 에어컨의 찬바람을 바로 맞는 경우에도 판상근의 긴장이 생기기 쉽습니다. 

  또한 교통사고를 당하고 나서 후유증으로 편타성 손상이 생기는 분들이 많습니다. 편타성 손상은 사고 충격으로 목 관절이 채찍처럼 앞뒤로 과신전 과굴곡 되면서 생기는 근육 인대 및 주변 연부조직의 손상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사고 후 목을 앞뒤로 못 움직이는 환자분들이 많으신데, 판상근의 손상도 이러한 증상을 유발 합니다.

 

올바른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제일 좋은 관리 방법은 올바른 자세 유지입니다 앉아있을 때는 항상 의자의 목받침이 목의 커브를 받쳐줄 수 있도록 의자를 조정하고 골반부터 목까지 의자등받이에 붙이고 앉는 것이 장시간 앉아있어도 척추건강을 유지하는 비결입니다. 또한 주기적으로 목의 굴곡 및 신전 스트레칭을 통해 판상근의 혈액순환과 긴장해소를 도와주시면 좋습니다. 또한 너무 높거나 딱딱한 베개도 수면시 목에 무리를 주어 판상근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목이 중립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적당한 높이와 쿠션이 있는 베개를 쓰도록 합니다.

 

만성적인 목 통증은 한의원에서 치료받으세요

  이미 오랜 시간동안 증상이 진행되어 경추의 변형까지 오셨을 경우는 생활습관 개선만으로 힘들 수 있는데요. 이런 분들은 추나치료를 통하여 경추의 부정렬을 바로 잡고 커브를 다시 만들어줘서 목이 머리의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또한 침과 부항 치료로 경직된 근육들을 풀어주고 무너진 근육 밸런스를 다시 잡아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뒷목의 통증과 함께 정수리, 이마, 안구의 통증까지 있으신 분들은 저희 수원 영통 경희수 한의원에 내원하셔서 한의사의 친절한 상담과 전문적인 진단 및 치료를 통하여 가벼운 목을 되찾길 바랍니다.

왜? 경희수한의원?

진심으로 가족을 대하듯 진료하며, 최선의 치료를 위해 앞서가는 한의원입니다.

Tel.031-205-7553   |   E-mail.kyungheesu@gmail.com
회사명 : 경희수한의원 | 대표자명 : 이재현 | 사업자등록번호 : 832-90-00179
주소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봉영로 1612, 305호 (영통동, 보보스프라자)
COPYRIGHT 2016@ www.kyungheesu.com |   ALL RIGHTS RESERVED